목록인터페이스 (2)
잡동사니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오늘은 안영회 대표님이 쓰신 인터페이스는 왜 모델링의 핵심 개념인가? 를 읽고 요즘에 뜻을 가지고 실험하던 부분들과 연결하여 글로 드러내고자 합니다.개발자 Agent 는 시간문제이다.제가 확신을 가지고 믿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개발자를 대체하는 Agent 의 시대는 곧 온다는 것입니다.더불어 저도 별 것 아니지만 개발자 Agent 를 위한 작은 부분들을 실험해 나가고 있습니다. gitlab-observer개발자 Agent 를 만들고 싶다는 뜻을 품고 고민을 해나가자 이런 생각들이 스쳤습니다.개발자는 서비스의 현황을 어떻게 알지?개발자는 어느 부분을 어떻게 고치며 나아갈지 어떻게 알지?개발자는 트러블 슈팅의 지점을 어떻게 알지?...개발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글로 풀어낼 수..
이번 하이마트 G-CRM 서비스(Spring기반)를 개발하면서 가장 아쉬운 부분이 유지보수의 용이성입니다. 그 동안 개발을 하면서 느낀거지만 DB중심의 서비스 구조를 가져다면 개발이 직관적이라 편해서 초기 구축의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실제 서비스단의 설계는 고려되지 않아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거나 유지보수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서비스단의 설계를 하면 되지만 프로젝트의 비용과 시간과 스스로의 능력 부족으로 설계하여 수행하기가 버겁다는것을 느낍니다. 이번에 문득 유지보수가 용이한 웹 어플리케이션의 설계는 어떤식으로 하면 좋을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공통코드를 관리방법에 대해 정리한 부분을 남깁니다. 유지보수가 용이한 웹 어플이케이션의 가장 중요한 항목은 종속성의 제거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