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라우드 (4)
잡동사니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오늘은 안영회 대표님의 좋은 플랫폼, 나쁜 플랫폼, 이상한 플랫폼 글을 읽고 플랫폼이라는 개념에 대해 느낀 것들을 풀어보려고 합니다.셀프서비스: 플랫폼의 핵심 가치플랫폼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개념은 셀프서비스입니다. 성공한 플랫폼들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예를 들어, 유튜브는 크리에이터들이 직접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아마존은 판매자들이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할 수 있는 자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했죠. 이러한 셀프서비스 환경은 플랫폼의 확장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셀프서비스가 중요한 이유사용자 경험의 향상: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오늘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버추얼 스레드의 역할과 이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버추얼 스레드는 전통적인 스레드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동시성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경량 스레드 모델입니다. 본 포스팅은 버추얼 스레드의 개념부터 시작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와 함께 그 이점 및 한계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할 것입니다.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먼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 가지는 특성을 정리하여 큰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처리량, 병렬성, 동시성, 효율성의 관점에서 다뤄볼 수 있습니다.처리량(Throughput)처리량은 애플리케이션이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작업..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과 함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Cloud Native Applications)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서 있으며, 기존의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에서 클라우드(Cloud) 환경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탄생 배경부터 현재의 현황까지를 살펴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주요 원칙과 기술,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란?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환경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설계되고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이는 클라우드의 유연성, 확..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적응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에서 클라우드(Cloud) 환경으로의 전환은 서비스의 구동 방식과 성능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동시성(Concurrency)과 병렬성(Parallelism)에 대한 새로운 요구사항을 만들어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으로 버추얼 쓰레드(Virtual Threads), 코루틴(Coroutines), WebFlux와 같은 최신 동시성 기법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ntext Switching의 개념과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동시성 기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