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도메인주도설계 (2)
잡동사니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도메인 주도 설계 의 2부의 읽은 후기를 기록하려고 합니다. 도메인을 격리하자 도메인의 격리를 보편적으로 할 수 있는 방식은 LAYERED ARCHITECTURE 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가장 쉬운 방법으로 도메인 코드와 도메인과 관련없는 코드를 혼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도메인과 관련된 코드를 확인하고 추론하기가 힘들어지고 모델 주도적인 객체를 구현하는 것이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돼버립니다. 객체지향의 5대원칙 중 하나인 관심사의 분리가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는 것처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분리하는 방법 중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LAYERED ARCHITECTURE 입니다. 그 외의 다수의 패턴들이 풀고자 했던 문제 중 하나는 느슨한 결합을 ..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도메인 주도 설계 의 1부의 읽은 후기를 기록하려고 합니다. 책을 선택한 이유 조영호님의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보면 도메인 모델을 기반으로한 객체 설계를 말합니다. 도메인 모델로 객체 지도를 만들어라. 그리고 JPA 의 repository 의 주석을 보면 DDD 에 의해 정의된 메카니즘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렇게 DDD 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현실의 복잡성을 풀어나가자 그런데 서문을 읽고 장황하게 설명된 표현들이 도메인 모델을 이해하고 현실의 복잡성을 풀어나가는것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본질이라고 말하는거 같습니다. 머릿속에서 명쾌하게 정리되는 느낌은 없지만 좋은 설계를 목표로, JPA가 지향하는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읽어나가야 겠습니다. 지식을 보전하고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