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227)
잡동사니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개발의 결과가 예상한 결과와 같을까? 에 대한 생각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전에 재밌는 현상을 먼저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래 인용구는 안영회 대표님의 브런치의 현장과 의사소통을 돕는 협업도구 두레이 에서 발췌했습니다. 한국에서 일할 때와 달리 중국에서는 서로 대화가 어려우니 내 말을 이해했는지 거듭해서 확인하고 기록도 하며, 화면이나 코드로 재차 확인하니 도리어 결과가 빨리 나왔던 것이다. 결과는 다르다 현업에서 지속적으로 코드기반 대화하기 를 수행하고 있고 최근에 사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우리가 협의한 개발 목표와 실제 개발된 결과는 각자가 예상한 결과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코드리뷰차 상대방의 코드를 보다보면 협의를 진행하면서 내가 예측한 로..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근래에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관심사 중 하나는 소통이 개발에 미치는 영향 입니다. 좋은 설계하기 (feat. 의사소통) 이번에는 흔히 어려워하는 기획문서의 수준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기획의 목적 기획의 목적 은 무엇일까요? 서비스 오너십을 가진 대상과 함께 서비스의 방향성을 정의하고 다른 구성원에게 정의한 서비스를 원만히 만들어낼 수 있도록 생각을 공유를 해주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기획서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서인 기획서 는 일률적인 수준을 가져야 할까요? 저는 전달해야하는 구성원의 규모와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서 달라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기획의 수준 - 2명 & 같은 공간 (Case 1) 만일 구성원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기획자 1명 (오..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페어 프로그래밍이나 코드 리뷰가 가지는 특성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시도해본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대화의 중요성 개발 활동이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활동이고, 이는 대부분 하나의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의, 협업, 소통 이라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이 때, 중요한것은 서로의 생각을 일치시키고 공감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합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에는 장벽이 존재합니다. 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언어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소통을 하지만 생각을 온전히 일치시키기 힘들고, 물리적으로 떨어져있는 시람과도 소통해야합니다. 또한 사람의 기억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록을 통하여 이전에 합의했던 내용을 남겨둘 필요성도 있습니다. 이를..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검수하는 문화와 이로인해 변화한 설계의 목적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계기 안영회 대표님의 폭포수 방식 설계는 기술 부채를 남긴다 라는 글을 몇번을 읽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사회 초년생부터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던, 왜 그런 개발 환경을 가지게 됐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하고 있었던거 같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궁금증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는 표현을 발견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 아니라 검수를 위한 결과물로 쓰이기에 그들의 표기법은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검수 단계에서 계약서에 합의한 금액 지불이 적절한가 하는 문제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검수 검수 라는 행위는 발주처 입장에서 목표한 제품을 수행 업체가 제공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이고, 만일 ..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설계하는 시각을 바꾸게된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지난 날 지난 시간동안 저에게 설계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중 하나였습니다. 폭포수 모델기반 설계 폭포수 모델기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UML 을 활용하여 산출물 이라는 것들을 만들곤 했는데요. UML 을 어떻게 활용해야 유의미한 설계가 되는지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설계문서 작성 배정을 받은 다음 검토라는 단계가 없이 승인 및 구현에 들어가 피드백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구현시에 설계의 부족한 부분이 확인되더라도 설계문서의 수정없이 개발 효율만을 생각하며 개발을 하는 환경이었고, 프로젝트 마지막에 산출물 현행화라는 방식으로 설계문서를 현행화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설계는 산출물을 위한 것인가 그..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백기선님의 인프런 강좌 중 하나인 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의 완주 후기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강의 수강 계기 앞서 백기선님의 이팩티브 자바 완주 후기 를 공유 했는데요. 유튜브 버전 강의는 맛보기 버전인데 그 동안 당연하게 사용하던 코드들의 시발점부터 장단점까지 알아가는 과정이 즐거웠어서 정식으로 인프런 강의를 보게 됐습니다. 배운점 객체 생성의 시점을 관리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방법 생성자는 다양한 매개변수 타입을 지원하려면 많은 수의 생성자를 만들어 둬야한다는 단점과 본인의 객체 타입만 반환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를 좀더 유연하게 대응하게 하기 위해 static 메소드를 활용하여 객체 생성을 할 수 있는데요. 이를 정적 팩토리 메소드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yeTi 입니다. 오늘은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협업툴을 잘 활용하여 업무를 유기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기본 약속 업무중에 하는 대부분의 활동은 이슈안에 존재한다. 업무적인 내용은 누구나 볼 수 있어야 하고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슬랙 (Slack) 슬랙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는 주제에 유연한 참여와 가지치기식 논의, 임시 저장, 리마인더 입니다. 기업용 메신저나 카톡을 생각하고 슬랙을 접하면 평범하기 그지없는 그저그런 메신저일 뿐입니다. 하지만 시각을 바꿔서 보면 다른 강점이 존재합니다. 의사결정을 빠르게 진행하고 유연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논의 주제에 필요한 누구든 즉시 해당 주제에 참여시킬 수 있고 참고인을 언제든 참조시킬 수 있어 의사결정을 빠르고 넓게 할 수..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막연한 스킬 UP 활동을 구체화 시켜보려고 합니다. 계기 최근에 프로그래머스에서 주관하는 2022 Dev-Matching: 웹 백엔드 개발자(상반기)-2 에 참여했습니다. 처음에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막상 결과를 받고보니 부족한 실력에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는 없더군요.ㅜ 사내 개발 커뮤니티를 만들고 싶어 소소한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한달동안 진행한 #1일1콭 챌린지가 실력 향상에는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느낌도 받아서 개선방안을 내야할거 같습니다. 회고 이력 10년차 개발자의 넋두리 좋은 시니어가 되자 좋은 문화를 가진 팀을 만들자 좋은 컨텐츠를 생산하자 10년차 개발자의 커리어 회고 좋은 기업에 꾸준히 지원해보자 목표 설정 구글 입사 하드 스킬 UP, 소..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JPA를 사용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Fetch Join 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공부 계기 공부가 부족한 탓에 엔티티의 @OneToOne 관계 설정 후 fetch join 으로 조인 대상을 필터링 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ㅜ 하지만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원인을 찾기 위해 구글링을 하게 되었고 인프런에 계신 김영한님의 답변들을 보면서 궁금증을 해소하게 됐습니다. JPA 강의도 정주행을 해야하지만 현재 보고 있는 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를 완강 후 보도록 해야겠습니다. 원인 JPA 표준 스펙에는 fetch join 대상에 별칭이 없지만, 하이버네이트는 허용합니다. 즉, fetch join 대상에 별칭을 사용은 할 수 있지만 DB 일관성 문제들이 발생할..
안녕하세요. yeTi입니다. 오늘은 백기선님의 디자인 패턴 강의를 본 후기를 기록하려고 합니다. 수강 계기 디자인 패턴은 주기적으로 공부를 시도하는 영역인대도 불구하고 끝을 보기가 쉽지 않은거 같습니다. 같은 이유로 시도할 때가 되서 본게 아닌가 싶습니다.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은 프로그램내에 유일한 인스턴스를 가지게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구현 방법으로 간단하게 syncronozed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클래스 로드시점에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eager initialized 방법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시점에 syncronozed 를 활용하는 double checked locking 방법 static 키워드의 단일 인스턴스의 특성을 활용하는 static inner class 방법이 있..